최종편집 : 2024-03-29 01:12 (금)
신지식인(新知識人)을 바로 알아야 한다
상태바
신지식인(新知識人)을 바로 알아야 한다
  • 이 량 기자
  • 승인 2018.01.28 1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직도 우리사회에서는 신지식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것을 감지할 수가 있다. 신지식인의 명칭에서부터 그 기능에 대한 비판(批判)이 만만치 않다. 21세기의 신지식인을 칭송(稱頌)한다면 구지식인은(舊知識人)은 쓸모없는 존재라는 말인가? 간혹 신지식인의 긍정적인 역할을 논하는 경우 일반 지식인은 쓸모없는 존재라는 말인가? 신지식인을 정부가 사회가 간혹 이기는 하지만 그토록 내세우는 까닭은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는 학벌주의(學閥主義)를 타파하려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개인능력과 학력은 대체로 함께 간다. 그렇다고 일류대학을 나와야만 능력이 꼭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정보화 시대 세계적 선두주자인 거부(巨富) 게이츠나 천재 감독 스필버그 모두 일류대학을 졸업하지 않았다. 창조적 지식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高附加價値)를 오랫동안 창출한 능력이 중요하다. 이 같은 의미에서 신지식인을 치켜세우는 여러 정부들의 정책은 환영할만하다.
                   
신지식인의 경쟁력, 큰 틀에서 보고 뿌리를 살펴야 

그런데 문제가 있다. 신지식인을 당장 지금 경제적 생산성(生産性)과 경쟁력을 높이며, 고부가 가치를 생산해 내는 사람들로 국한시키는데 문제가 있다. 생산성이나 경쟁력(競爭力)을 장기적인 안목으로 보지 못하거나 그것의 뿌리를 살피지 못한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비록 우리 사회에서 그간 진정 창조적(創造的)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학력이 부족하다고 해서 차별받은 일이 비일비재했다고 하지만, 생산성 향상이라는 기능만 강조하며 신지식인을 칭송하는 것은 염려스럽다. 멀리 조심스레 내다볼 때 바람직한 지식인을 질식(窒息)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신(新)이건 구(舊)이건 바람직한 지식인의 특징은 무엇일까?
첫째, 비판적(批判的) 능력이다. 기존의 제도와 관행, 그 문화와 사고의 틀 속에 깊이 도사리고 있는 반개혁적(反改革的) 요소들과 비리 및 부정의 씨앗을 날카롭게 제시하며, 그것들의 제거를 위한 비판은 사회전체의 발전과 역사의 진보(進步)에 절대 필요하다. 지난 1천 년 간 인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공헌했던 인물들은 대체로 비판능력에 뛰어난 인물들이었다. 그런 인물로 우리는 루터, 구텐베르크, 코페르니쿠스, 뉴턴, 아인슈타인, 프로이트 등 수 없이 들 수 있다.
둘째, 바람직한 지식인은 종합적(綜合的)이고 장기적(長期的) 안목을 지닌다. 나무 하나 하나를 보면서도 숲 전체를 조감(藻鑑)할 줄 알고, 사물과 현상의 외양보다도 그 본질을 꿰뚫어 볼 줄 안다. 단기적 관찰과 분석보다는 장기적 조망(眺望)을 존중한다. 바로 이 점에서 그들은 지식기사(智識技士)와 다르다.
셋째, 참 지식인은 자기초월(自己超越)의 힘을 지닌다. 자기 입장을 떠나 남의 처지에 서서 남과 사물을 이해하려 한다. 역지사지(易地思之)와 역지감지(易地感支)의 능력을 지닌다. 그러기에 냉혹한 적자생존(適者生存)의 시장 속에서 탈락하게 되는 약자들과 동고(同苦)하며 그들의 복지를 위해 노력한다.
                    
21세기 요청은 단기적 창출능력 아닌 장기적인 것
              
넷째, 그 비판적 창조능력 때문에 지식인은 공식적(公式的) 세계에 대한 공식적 지식에 만족하지 않는다. 현장지식을 평생에 걸쳐 끊임없이 배우면서 자기 한계(限界)를 겸손히 인정한다. 그리고 남들로부터, 특히 민중으로부터 배우고자한다. 여기 지식은 정장(正裝)되는 품목이 아니라 항상 현장에서 흐르는, 살아있는 지식(知識)이다.
이 같은 지식인들이 일차적으로 대학에서 길러져야 하는데, 우리의 대학은 그간 반지성적(反知性的) 지식기사들을 더 많이 양산했었다. 민주화 국면에 접어든 지금도 대학은 지식인도 그리고 신지식인도 육성해내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대학 밖에서 창조적 지식인이 나오는 것도 아니다.
21세기가 요청하는 지식은 단기적 생산성 창출능력이 아니라 장기적 창조능력이다. 창조적 호기심과 그 비판성을 신지식인의 특성에서 배제한다면 우리의 21세기는 다시 암울해질 것이다.   


주요기사